화성학 | 백병동 - 교보문고

화성학 |

product.kyobobook.co.kr

 

내용의 모든 출처는 백병동의 화성학임을 밝힙니다.

 

화성학을 배우기 전에 기본적인 악보이론의 숙지는 필수입니다. 

아마 화성학 정리글을 올리면서, 악보이론 정리를 살펴보는 포스팅도 있을 예정입니다. 

 

음정(Interval)의 정의

음정이란 쉽게 말해 두 음 사이의 거리를 말합니다.

이 음정의 간격에 따라 2가지 속성으로 나뉘게 되는데,

가락적 음정(Melodic Interval), 화성적 음정(Harmonic Interval) 2가지로 나뉩니다.  

가락적 음정 / 화성적 음정

 

화성적 음정의 경우, 위 그림과 같이 화음이 존재하게 됩니다.

아래음을 기준으로, 위의 음까지 그 사이를 음의 도수라고 합니다.

위 그림같은 경우 5도가 되겠죠. (기준 음까지 포함해서 도수를 세면 됩니다.)

 

기본 음정

음정의 도수는 (기본적으로) C에서 한 옥타브 위의 C까지, 두 음의 거리는 8도가 됩니다. 

이 두 사이에 보이는 온음계적 음정들을 기본 음정이라고 합니다.

기본 음정의 성질은 아래와 같습니다.

1, 4, 5, 8도 => 완전음정

2, 3, 6, 7도 => 장음정

 

완전음정은 제1배음에서 제4배음열까지의 음열에서 발생한 음정이고, 장음정은 제5배음열까지의 음열에서 발생한 음이라고 하네요. 

 

기본 음정의 구성

온음과 반음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집니다.

온음과 반음

 

온음은 두 음 사이에 샵이나 플랫이 있고, 반음은 두 음 사이에 음이 없습니다

 

이 온음과 반음에 기초해, 기본음정들의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음정의 성질 온음 갯수 반음 갯수
완전 1도 0 0
장 2도 1 0
장 3도 2 0
완전 4도 2 1
완전 5도 3 1
장 6도 4 1
장 7도 5 1
완전 8도 6 2

 

 

조가 바뀌거나 변화표에 의해 음정이 변해도 도수가 같고 반음의 수가 위 표와 같으면, 기본음정과 같은 게 됩니다. 

지금 이 그대로의 상태는 온음계적 음정(Diatonic Interval),

여기서 반음이 변화된 상태는 반음계적 음정(Chromatic Interval)이라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