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일지
[화성학] 2. 음정의 변화
[화성학] 2. 음정의 변화
2023.11.18화성학 | 백병동 - 교보문고 화성학 | product.kyobobook.co.kr 내용의 모든 출처는 백병동 화성학임을 밝힙니다. 음정의 변화 이전 정리글에서 설명했듯, 완전음정과 장음정은 기본 음정입니다. 기본 음정으로서만 쓰이면 좋을텐데, 이들은 음의 간격이 임시표로 인해 변화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완전음정이 증음정이 될 때도 있고, 장음정이 단음정이 되거나 증음정이 될 때도 있습니다. 변화되는 음정 간의 관계를 표로 나타내면 아래의 그림과 같습니다. 위쪽에 샵이 붙거나 아래쪽에 플랫이 붙으면 음정 간격은 넓어집니다. 반대로 위쪽에 플랫이 붙거나 아래쪽에 샵이 붙으면 음정 간격은 좁아집니다. 위의 그림처럼, 임시표가 붙을 때마다 화음의 성질은 변화합니다. 반음을 기준으로 생각하면 편합니다. 가끔은 ..
[화성학] 1. 음정(Interval), 기본 음정
[화성학] 1. 음정(Interval), 기본 음정
2023.11.11화성학 | 백병동 - 교보문고 화성학 | product.kyobobook.co.kr 내용의 모든 출처는 백병동의 화성학임을 밝힙니다. 화성학을 배우기 전에 기본적인 악보이론의 숙지는 필수입니다. 아마 화성학 정리글을 올리면서, 악보이론 정리를 살펴보는 포스팅도 있을 예정입니다. 음정(Interval)의 정의 음정이란 쉽게 말해 두 음 사이의 거리를 말합니다. 이 음정의 간격에 따라 2가지 속성으로 나뉘게 되는데, 가락적 음정(Melodic Interval), 화성적 음정(Harmonic Interval) 2가지로 나뉩니다. 화성적 음정의 경우, 위 그림과 같이 화음이 존재하게 됩니다. 아래음을 기준으로, 위의 음까지 그 사이를 음의 도수라고 합니다. 위 그림같은 경우 5도가 되겠죠. (기준 음까지 포함해..
예술가곡이란?
예술가곡이란?
2023.11.01가곡 , 그 중에서도 예술가곡이란 장르가 낭만주의 시대에 탄생했다. 예술가곡이란 오페라나 종교 관련 주제를 다루지 않고 세속적인 주제를 다루는 가곡이다. 이러한 예술가곡이 크게 발전할 수 있었던 데에는 두 가지 이유가 있다. 1. 건반악기(피아노)의 발달 이전의 건반악기들은 일정한 강세로 연주되었기 때문에 감정에 대한 표현이 어려웠는데, 포르테피아노(현재의 피아노)가 개발되면서, 건반악기가 ‘셈여림’이란 새로운 표현 요소를 가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2. 낭만주의의 발달 즉 로맨티시즘(Romanticism)이라는 단어에서 알 수 있듯 환상, 감정을 다루는 서정시가 발달했기 때문이다. 이 두가지 요소가 결합해 예술가곡이라는 새로운 장르가 탄생할 수 있었다. 예술가곡은 다른 말로 ‘리트(Lied)’ 라고 불..
[시벨리우스] 시벨리우스 가격 / 시벨리우스 버전 차이
[시벨리우스] 시벨리우스 가격 / 시벨리우스 버전 차이
2023.10.21이번엔 악보를 제작하는 프로그램들 중 시벨리우스에 관한 정보를 공유하려 한다. 시벨리우스는 Avid 사에서 제작한 악보 편집 및 작곡 프로그램이다. Music Notation Software – Sibelius – Avid Sibelius is the world’s best-selling music notation software. Compose, arrange, publish, and teach music writing and scoring—on desktop and mobile. www.avid.com 시벨리우스 가격정책 알아보기(구독) 대충 정리해보자면 이렇다. Sibelius Artist Sibelius Ultimate 1년 구독, 한번에 결제 $99 (36% 할인) $199 (41% 할인) 1년..
오케스트라 악보 순서
오케스트라 악보 순서
2023.10.21이번에 졸업연주곡을 쓰게 되면서, 오케스트레이션이 생각보다 쉽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특히 악보를 제작하는 데에 있어서 일정한 양식이 존재한다. Score(총보) 위의 그림은 내가 직접 작업한 악보다. 그림에서 알 수 있듯이, 총보란 모든 악기를 표시하는 악보를 뜻한다. 순서는 목관악기 - 금관악기 - 타악기 - 독주악기 - 현악기 로 구성된다. 작곡가는 항상 악보의 가독성을 위해 악보를 계속 최적화해줘야 한다. 그 외에도, 1) 오른쪽 페이지가 홀수 페이지 2) 페이지의 번호는 왼쪽 위 등의 규칙이 존재한다. Part Score(파트보) 파트보란 말 그대로 각각 악기 파트로 나뉘어진 악보를 뜻한다. 악기당 1개씩의 분리된 악보를 가진다. 왼쪽의 악보는 Horn 1 의 악보인데, 제 1 악기와 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