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통신] 1. 토폴로지 / 데이터 플로우 / 네트워크 거리
이번엔 데이터통신 과목을 정리하려 한다.
우선 토폴로지부터 정리해보자.
(학과의 ppt에서 그림을 참고했습니다)
Physical Topology (물리적 토폴로지)
- 물리적 토폴로지란, 네트워크가 물리적으로 배치되는 방식을 뜻한다.
- 2개 혹은 그 이상의 기기가 링크에 연결되는 것
- 2개 이상의 링크가 Topology(위상)
Topology에는 크게 4가지 종류가 있다.
- Mesh Topology
- Star Topology
- Bus Topology
- Ring Topology
(Fully Connected) Mesh Topology
Mesh Topology란,
- 각각의 기기가 Point-to-Point (1 대 1)로 연결된 방식의 토폴로지
- 링크가 연결된 두 기기 사이에서만 트래픽을 전달한다는 의미
장점
- 각 연결이 자기 자신의 데이터를 전달하는 걸 보장함
- 매우 견고함
- 프라이버시 보장, 안전성 보장
단점
- 엄청난 양의 케이블, I/O 포트 수
- 엄청난 비용
- 관리가 힘듦
Star Topology
Star Topology란,
- 각각의 기기가 전부 중앙 컨트롤러(Hub)에 1 대 1로 연결된 토폴로지
- 각각의 기기끼리는 연결이 없음
- 기기끼리의 직접적인 트래픽을 허용하지 않는다.
- 주로 근거리 통신망(LANs)에서 사용
장점
- 메시 토폴로지보다 덜 광범위함
- 견고성
단점
- 중앙 컨트롤러(Hub) 다운 시 전체 네트워크 중지됨
- 통신량이 증가하면, 전송 지연도 증가
Bus Topology
Bus Topology란,
- 하나의 긴 케이블이 백본이 되어 모든 기기와 네트워크 연결
- Multipoint Connection
장점
- 설치가 쉬움
단점
- 재연결이 어렵고, 오류 발생 시 격리가 어려움
- 버스 케이블의 결함 시 모든 전송이 중지
+ Bus Topology는 1990년대에 자주 쓰였던 토폴로지다. 현재는 잘 쓰이지 않음
Ring Topology
Ring Topology란,
- 기기의 양 쪽으로 2개의 장치만 연결되게끔 만드는 토폴로지
- 목적지에 도달할 때까지 한쪽으로만 통신함(One Direction)
장점
- 설치 및 재구성이 간단함
단점
- Undirectional traffic : 1개의 노드가 중단되면 전체 네트워크가 다운
Data Flow
말 그대로 데이터의 흐름을 의미한다.
데이터의 흐름엔 3가지 종류가 있다.
- Simplex(단방향 통신)
- Half-Duplex(반이중 통신)
- Full-Duplex(전이중 통신)
1. Simplex(단방향 통신)
통신이 한 쪽으로만 전달되는 Data flow.
예를 들면 TV, 라디오 등이 있겠다.
2. Half-Duplex(반이중 통신)
양방향으로 통신이 되나, 한 번에 한 길로만 송수신이 가능한 Data flow.
예를 들면 무전기나 WI-FI 등이 있다.
왜 WI-FI는 전이중 통신이 아니라 반이중 통신인가?
WI-FI는 1차선 도로 또는 골목길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송수신이 서로에게 영향을 받고 끼친다.
3. Full-Duplex(전이중 통신)
양방향으로 통신이 가능하고, 양방향 동시로 송수신이 가능한 Data Flow.
예를 들면 핸드폰 기기나 PC, 유선 LAN 등이 있다.
Network Range
- BAN(Body Area Network)
- 신체 주위 정도의 네트워크, 매우 좁은 거리. 환자의 신체 모니터링 등에 사용(1~2m)
- PAN(Personal Area Network)
- 개인 영역의 네트워크. 좁은 거리. 블루투스 등의 네트워크에 사용(< 10~20m)
- LAN(Local Area Network)
- 소규모 범위의 네트워크. 집, 회사, 학교 등의 네트워크에 사용(< 100m)
-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 도시 범위의 네트워크. 대규모 시설이나 도시 내 네트워크에 사용 (< 50km)
- WAN(Wide Area Network)
- 국가와 지역 범위의 네트워크. 매우 넓은 네트워크 구축 시에 사용
728x90
반응형
'✍🏻배움일지 > 데이터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통신] 6. Digital Transmission # 2 (8) | 2023.10.27 |
---|---|
[데이터통신] 5. Digital Transmission (43) | 2023.10.26 |
[데이터통신] 4. 데이터와 신호(Signal) # 2 (0) | 2023.10.25 |
[데이터통신] 3. 데이터와 신호(Signal) (0) | 2023.10.25 |
[데이터통신] 2. 프로토콜 / 레이어 (2) | 2023.10.24 |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데이터통신] 5. Digital Transmission
[데이터통신] 5. Digital Transmission
2023.10.26 -
[데이터통신] 4. 데이터와 신호(Signal) # 2
[데이터통신] 4. 데이터와 신호(Signal) # 2
2023.10.25 -
[데이터통신] 3. 데이터와 신호(Signal)
[데이터통신] 3. 데이터와 신호(Signal)
2023.10.25 -
[데이터통신] 2. 프로토콜 / 레이어
[데이터통신] 2. 프로토콜 / 레이어
2023.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