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통신] 4. 데이터와 신호(Signal) # 2
이전 정리글 ↓
[데이터통신] 3. 데이터와 신호(Signal)
이전 정리글 ↓ [데이터통신] 2. 프로토콜 / 레이어 이전 정리글 ↓ [데이터통신] 1. 토폴로지 / 데이터 플로우 / 네트워크 거리 이번엔 데이터통신 과목을 정리하려 한다. 우선 토폴로지부터 정리
w8err.tistory.com
신호 분석 관점(domain)은 2가지 영역으로 해석할 수 있다.
시간 영역(Time-domain)과 주파수 영역(Frequency-domain)이다.
Time-domain and Frequency-domain
Time-domain
시간에 따른 진폭(Amplitude)의 변화를 나타냄
시간 흐름에 따른 정보의 변화들을 표시해줌. X축이 시간
Frequency-domain
주파수를 기준으로, 대역 내에 몇 개의 신호가 있는지 볼 수 있는 그래프
Time-domain을 옆으로 본다고 생각하면 편하다. 그래서 X축이 주파수(Hz)다.
- 푸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 : Time-domain 진동을 Frequency-domain으로 변환하는 것
- 역-푸리에 변환 : 그 반대
복합신호 Composite signal
각각의 Amplitude, Frequency, Phase 들이 모인 집합
Bandwidth(대역폭), Frequency Spectrum
Frequency Spectrum : 주파수의 모든 구성요소를 모아놓은 것
Bandwidth : 프리퀀시 스펙트럼의 너비. Bandwidth가 넓을수록 더 많은 데이터를 보낼 수 있다.
예시 : 주기 신호를 주파수가 100, 300, 500, 700, 900Hz인 5개의 사인파로 분해하면 대역폭은 얼마인가?
(모든 구성요소의 Amplitude가 10V라고 가정)
정답 :
Digital Signals
Analog Signals 보다는 좀 쉽다.
A 1은 + 전압으로 인코딩되고 0은 0 전압으로 인코딩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신호는 두 개 이상의 단계(Level)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각 단계에 대해 1비트 이상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Bitrate : 1초 동안 몇 비트를 보냈는지의 값. 단위는 bps(bit per seconds)
Throughtput : 1초 동안 몇 비트를 받았는지의 값. 단위는 bps
다음 정리글 ↓
[데이터통신] 6. Digital Transmission # 2
이전 정리글 ↓ [데이터통신] 5. Digital Transmission 이전 정리글 ↓ [데이터통신] 4. 데이터와 신호(Signal) # 2 이전 정리글 ↓ 신호 분석 관점(domain)은 2가지 영역으로 해석할 수 있다. 시간 영역(Time-doma
w8err.tistory.com
'✍🏻배움일지 > 데이터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통신] 6. Digital Transmission # 2 (8) | 2023.10.27 |
---|---|
[데이터통신] 5. Digital Transmission (43) | 2023.10.26 |
[데이터통신] 3. 데이터와 신호(Signal) (0) | 2023.10.25 |
[데이터통신] 2. 프로토콜 / 레이어 (2) | 2023.10.24 |
[데이터통신] 1. 토폴로지 / 데이터 플로우 / 네트워크 거리 (8) | 2023.10.24 |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데이터통신] 6. Digital Transmission # 2
[데이터통신] 6. Digital Transmission # 2
2023.10.27 -
[데이터통신] 5. Digital Transmission
[데이터통신] 5. Digital Transmission
2023.10.26 -
[데이터통신] 3. 데이터와 신호(Signal)
[데이터통신] 3. 데이터와 신호(Signal)
2023.10.25 -
[데이터통신] 2. 프로토콜 / 레이어
[데이터통신] 2. 프로토콜 / 레이어
2023.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