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통신] 8. Analog Data to Digital Data
이전 정리글 ↓
[데이터통신] 7. Block Coding, Scrambling
이전 정리글 ↓ [데이터통신] 6. Digital Transmission # 2 이전 정리글 ↓ [데이터통신] 5. Digital Transmission 이전 정리글 ↓ [데이터통신] 4. 데이터와 신호(Signal) # 2 이전 정리글 ↓ 신호 분석 관점(domain)은
w8err.tistory.com
Pulse Code Modulation (PCM)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치환하는 방법 중 하나다.
아래와 같이 3단계를 걸쳐서 데이터로 치환된다.
- 1. Sampling
- 2. Quantization(양자화)
- 3. Binary encoding : 최종적으로 1과 0으로 만들어줌
PCM : Sampling
- 일정 Sampling Interval로 값을 측정하는 것
- 값이 연속적으로 바뀌는 아날로그 특성을 없앰
나이퀴스트 정리 (또는 나이퀴스트-섀논 정리)
샘플링레이트는 주어진 아날로그의 데이터에 포함된 최대 프리퀀시의 2배 이상은 되어야 한다!
PCM : Quantization
- 샘플링된 데이터를 Quantization codes(index)으로 재조정함
-> 본인이 속한 값의 중간값으로 재조정됨
- 특정 범위 내에 무한대의 값을 가지는 아날로그 특성을 없앰
More Quantization(Trade-Off)?
장점
- 오차가 작아짐
- 데이터의 정밀도 증가
단점
- 데이터 양의 증가
- 처리 복잡도 증가
Quantization Error 조심! 근사값이기 때문에 완벽한 값의 대체가 아님.
Nonlinear PCM
전부 균일하게 Quantization 레벨을 나누지 말고, 데이터가 특히 많은 곳을 더 잘게 나누는 PCM 기법.
Trade-Off 발생 없이 더 정확한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지 않을까?
'✍🏻배움일지 > 데이터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통신] 7. Block Coding, Scrambling (54) | 2023.10.28 |
---|---|
[데이터통신] 6. Digital Transmission # 2 (8) | 2023.10.27 |
[데이터통신] 5. Digital Transmission (43) | 2023.10.26 |
[데이터통신] 4. 데이터와 신호(Signal) # 2 (0) | 2023.10.25 |
[데이터통신] 3. 데이터와 신호(Signal) (0) | 2023.10.25 |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데이터통신] 7. Block Coding, Scrambling
[데이터통신] 7. Block Coding, Scrambling
2023.10.28 -
[데이터통신] 6. Digital Transmission # 2
[데이터통신] 6. Digital Transmission # 2
2023.10.27 -
[데이터통신] 5. Digital Transmission
[데이터통신] 5. Digital Transmission
2023.10.26 -
[데이터통신] 4. 데이터와 신호(Signal) # 2
[데이터통신] 4. 데이터와 신호(Signal) # 2
2023.10.25